본문 바로가기
세금정보

자녀에게 매달 20만원 증여하고 세금신고 한 번에 하기

by 스노우볼맨 2023. 8. 30.
반응형

자녀 미래를 위해 매달 자녀 계좌로 돈을 보내시는 분이 많습니다. 저도 매달 20만원씩 딸 계좌로 송금하고 있는데요. 다달이 돈을 계좌이체 하다 보니 매달 세금신고를 해야 하는 것인가 알아봤습니다. 유기정기금 제도를 활용하면 매달 신고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.

1. 유기정기금 제도란? 

(1) 개 요

  유기정기금 제도란 정기적으로 보내는 돈에 할인률을 적용하여 신고가액을 낮추는 것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. 제가 매달 20만원씩 딸 계좌로 송금하고 있습니다. 10년 뒤 20만원과 지금 20만원이 동일할까요? 10년 뒤 20만원의 가치는 지금 20만원의 가치보다 적습니다.

 

  증여로 유기정기금으로 신고하게 되면 두 가지 효과가 있습니다. ①더 많은 돈을 증여할 수 있고, ②매달 세금신고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.

 

  당신이 매달 20만원씩 자녀에게 증여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당신은 20년 동안 증여하기로 계획을 세웠습니다. 20년간 실제로 증여한 돈은 매년 240만 원(20만원 x 12)씩 총 4,800만원(240만원 x 20)입니다. 하지만 20년 뒤 돈의 가치는 지금 가치보다 낮기 때문에 할인률을 적용해야 합니다. 그래서 할인률을 적용하면 4,800만원의 가치는 36,496,453원입니다.

 

  매달 증여신고를 한다면 4,800만원을 증여했을 것입니다. 하지만 유기정기금 제도를 활용해 1,200만원 가까이 증여신고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또한 한 번에 신고하면 되니 귀찮지도 않습니다.

 

(2) 증여세 비과세 한도를 고려할 때 매달 얼마를 증여해야 할까?

  10년에 2,000만원이 미성년자에 대한 비과세 한도입니다. 10년 동안 미성년자 자녀에게 증여하는 금액이 2,000만원이 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. 

 

  증여세 한도에 걸리지 않는 월 증여액은 매달 19만원입니다. 10년간 월마다 증여를 19만원 했을 때 유기정기금은 19,955,766원이 되어 비과세 한도 2,000만원에 걸치게 됩니다. 계산결과는 아래 표로 보시면 됩니다.

10년동안 월마다 19만원 증여했을 때 증여 계산 결과임. 비과세한도를 넘지 않는다.
10년동안 월마다 19만원 증여했을 때 총 증여액 계산결과

2.  홈택스에서 세금신고 하기

  세금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홈택스 로그인(자녀 계정을 새로 만드셔서 자녀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합니다.)
  • 이어 사진에 나와 있는 대로 진행

홈택스 홈페이지를 클릭하는 순서 : 세금신고 - 증여세 신고 - 일반증여신고로 들어간다.
홈택스 홈페이지 클릭

  • 개인 정보 입력(증여일자, 증여자 주민등록번호, 수증자 주민등록번호(우측 확인클릭), 증여자 관계 '자' 클릭) 후 저장 후 다음이동

증여재산-일반, 현금, 현금등시가를 입력하고 증여액 계산한 결과를 입력한 후 다음으로 이동한다.
증여재산-일반, 현금, 현금등시가를 입력하고 증여재산(유기정기금 계산결과)을 입력한다.

  • 다음 선택
    • 증여재산 구분 : 증여재산 - 일반
    • 평 증여재산 종류 : 현금,
    • 평가방법 : 현금등시가
  • 증여재산 입력 후 다음 이동

증여재산 공제-직계존비속 2천만원 입력 후 다음으로 이동한다.
증여재산 공제 - 직계존비속 2천만원을 입력

  • 증여재산 공제 - 직계존비속 20,000,000입력 후 다음 이동
  • 최종 내용 확인하고 제출하기 클릭
  • 첨부 서류 제출 : 가족관계증명서, 증여계약서, 유기정기금 평가명세서

 

유기정기금 평가명세서와 증여계약서는 네이버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. 세부 작성법과 파일이 궁금하시다면 해당 링크를 클릭하셔서 이동해 주세요.

공부하는 세무사 우동호

반응형